728x90 반응형 한빛국가유산tv19 한빛 유튜브와 티스토리 누가 시킨 것도 아닙니다!누가 시킨 것도 아닙니다.그저 우리가 좋아서 하는 일이지요.누구나 좋아할 만한 것을 좇아가는 것도 아닙니다.또 이름난 곳을 찾아가는 것도 아닙니다.되레 남들은 잘 모르는 곳, 또 남들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곳만 골라서 갑니다.그렇다고 누가 알아주는 것도 아닙니다. 왜?우리 둘레에 이런 문화유산들도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은 겁니다.어느새 이렇게 다닌 지 16년째(2024년)입니다.내가 사는 지역만 해도 무척이나 많은 문화유산들이 있는데, 실제로 이 지역에 사는 이들도 날마다 그 앞을 지나다니면서도 그게 무언지 잘 모릅니다.훌륭하고 좋은 유적들, 볼거리들이 이렇게나 많은데 정작 여기 사는 사람도 모른다는 게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이게 바로 우리가 숨은 문화유산을 찾아다니게 된 시작이.. 2024. 10. 29. 보자마자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상주 하곡서당-[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6]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목사로 부임해온 영천자 신잠(.. 2024. 10. 27. 상주 송암서당-[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5] 그나마 후손의 이야기를 들었으니 이렇게라도 알지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 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목사로 부임해온 영천자 신잠.. 2024. 10. 25. 상주 죽림서당-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서당 4] 옛 건물에 니스칠을 하면 안돼~!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 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목사로 부임해온 영천자 신잠(.. 2024. 10. 22. 아니! 18개나 세웠다고? 내가 다 알려줄게~! [상주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18개 서당]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답니다.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목사로 부임해온 영천자 신잠(1491 ~ 1554) 선생이 상주 땅에 세웠다는 18개 서당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몇 곳은 지금은 사라지고 없지만 남아있는 곳이 대략 10곳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시www.youtube.com 이번 기획 영상으로 지난여름, 그 무덥고 습했던, 그리고 .. 2024. 10. 11. 이 작은 시골에 이런 감성뿜뿜 카페가? <상주 청리면 청리카페> 지난여름, 뜨거운 뙤약볕을 받으며 우리 문화유산 답사를 다니면서 상주 땅을 그야말로 구석구석 다 찾아다녔지요. 특히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다니느라고 일요일마다 상주 땅을 뒤지고 다녔답니다.그 뜨거운 날 이렇게 다니다 보니, 시원하고 달콤한 마실 거리가 몹시 땡기더군요. ^^그렇게 상주시 공성면과 청리면을 샅샅이 뒤지며 카카오맵까지 보면서 카페를 찾아다녔는데 거의 옛날식 다방만 몇 군데 있고 그나마 문 닫은 곳이 많았어요.그러다가 찾아낸 곳이 바로 여기 랍니다.카페를 찾으니 어찌나 반갑든지요. ^^청리역에서 멀잖은 곳인데 아주 작은 카페였어요. 정말 반가운 마음으로 들어섰더니, 작은 카페이지만 아기자기한 가게 분위기가 무척 좋더군요.젊은 청년 남자 사장님이 꾸리는 카.. 2024. 10. 10. 아버지와 아들 둘, 딸 둘까지 한 집안이 '충효열'을 실천한 <상주 송량일가 정려문> 앞서 소개한 우곡 송량 선생을 기리는 에서 아주 가까운 곳에 선생의 아들과 딸의 효심과 절의를 기려 나라에서 정려를 내리고 세운 정려각이 있습니다. 바로 입니다.효곡재사로 들어가는 들머리 길에서 오른쪽으로 약 200m쯤 떨어진 곳에 이 있습니다.효곡재사로 들어가는 길 들머리에는 유허비 하나가 우뚝 서 있습니다. 바로 우곡 송량 선생의 할아버지인 송세휘(宋洗輝) 선생의 유허비입니다.(禦侮将軍 行龍驤衛 副司直 礪山宋公 諱 洗輝 遺墟碑(어모장군 행용양위 부사직 여산송공 휘 세휘 유허비) 연산군 때 갑자사화로 나라가 혼란스럽자 벼슬에서 물러나 이곳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 마을로 내려와서 터를 잡고 살게 된 여산 송씨(礪山 宋氏)의 입향조가 됩니다.바로 입향조 송세휘 선생을 기리는 유허비가 들머리에 서 있는 겁니다.. 2024. 9. 10.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문화유산 나들이, 풍경은 덤! 또 다른 재미 누가 시킨 것도 아닙니다!누가 시킨 것도 아닙니다. 그저 우리가 좋아서 하는 일이지요. 누구나 좋아할 만한 것을 좇아가는 것도 아닙니다. 또 이름난 곳을 찾아가는 것도 아닙니다. 되레 남들은 잘 모르는 곳, 또 남들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곳만 골라서 갑니다. 그렇다고 누가 알아주는 것도 아닙니다. 왜? 우리 둘레에 이런 문화유산들도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은 겁니다. 어느새 이렇게 다닌 지 16년째입니다. 내가 사는 지역만 해도 무척이나 많은 문화유산들이 있는데, 실제로 이 지역에 사는 이들도 날마다 그 앞을 지나다니면서도 그게 무언지 잘 모릅니다. 훌륭하고 좋은 유적들, 볼거리들이 이렇게나 많은데 정작 여기 사는 사람도 모른다는 게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이게 바로 우리가 숨은 문화유산을 찾아다니게 된 시.. 2024. 8. 9. [야은 길재 선생의 유적을 찾아서1] 안타깝다. 잡풀이 우거진 길재 선생 생가 터, 부끄러움은 내 몫인가? 알고 있나? 구미시에 야은 길재 선생 유적이 이렇게나 많이 있다는 걸 이번에는 고려삼은 가운데 한 분이신 야은 길재 선생을 톺아보려 합니다. 길재 선생은 제가 사는 구미시가 고향인 분이랍니다. 선생은 고려 후기 문신이자 조선 초 성리학자입니다.고려가 이성계에 망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 구미 선산에 내려와 학문을 닦고 제자들을 길러내며 살다 가신 분이지요. 구미시에는 길재 선생의 유적이 생각보다 많이 있답니다.생가 터를 시작으로 지주중류비, 채미정, 길재선생 묘소, 야은영당, 금오서원, 그리고 금산에 있는 청풍서원까지 소개하려고 합니다. 예전에도 한 번씩 가본 곳이기도 하지만, 이번에 한 달 동안 유튜브(한빛국가유산TV) 영상과 티스토리 글쓰기를 위해 모든 유적에 다시 찾아가서 보고 왔답니다. 앞으로 하.. 2024. 7. 26.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