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430 임진왜란과 퇴계 이황의 마지막 제자 물암 김륭[봉화 두릉서당] 우리가 어떤 가르침을 배우고 익힌다고 하면 그걸 실천할 줄도 알아야 하겠지요. 배우기만 하고 실천하지 않는다면 그 학문은 죽은 학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그 옛날 조선의 많은 선비들은 평생 글공부를 하고 그 가르침대로 살아가려고 많이 애쓰고 살았음을 압니다.얼마 앞서 경북 봉화에 갔을 때 처음 알게 된 선비가 한 분 있습니다. 퇴계 이황의 마지막 제자 물암 김륭 바로 퇴계 이황의 마지막 제자인 물암 김륭(勿巖 金隆) 선생입니다.김륭 선생은 1549년(명종 4)에 경북 영주 신천리 산골 마을에서 태어나 1594년(선조 27) 46세 젊은 나이에 돌아가신 분인데요.이 분의 학문은 언제나 배우는데 그치지 않고 배움을 실천하며 도덕으로도 늘 반듯한 시골 선비였습니다.14세에는 영주 지역의 소고 박승임 선생의 제자.. 2025. 4. 16. 이건 포니2 픽업? 맞나요? 어제 대구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아주 귀한 자동차를 봤네요.이 자동차가 포니2 픽업이 맞나요?자동차 잘 아시는 분 알려주세요. ^^아, 이 꽃은 또 무슨 꽃일까요?분홍빛 꽃은 영산홍이 맞는데, 도시철도 기둥에 수양버들처럼 휘휘 늘어진 노란 꽃이 무척 예쁘더라고요.대구에 도시철도 기둥마다 저렇게 노란 꽃이 예쁘게 피었습니다.앞쪽 모습은 못 봐서 정확하게 잘 모르겠어요.뒷모습만 봤네요. 선팅을 하나도 안 했습니다.안쪽 모습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자동차입니다.^^그나저나 저 멋진 클래식 자동차를 이렇게 멋지게 운행하고 계시는 분이 더욱 멋지게 보입니다.아, 그리고 위 사진은 군위 에서 본 포니2픽업 자동차입니다.최고 시속이 160km 그런데 저 위에 자동차가 포니2 픽업이 맞긴 맞는 건가요? ^^어찌 되었든 아.. 2025. 4. 13. 기적도 숨이 차서 목메어 울고 간다는 추풍령, 추풍령 휴게소와 추풍령역 아, 추풍령! 얼마나 고개였으면 기적도 숨이 찰까? 구름도 자고 가는 바람도 쉬어가는 추풍령 굽이마다 한 많은 사연~ (추풍령 1절 중략) 기적도 숨이 차서 목메어 울고 가는추풍령 굽이마다 싸늘한 철길떠나간 아쉬움이 뼈에 사무쳐거칠은 두 뺨 위에 눈물이 어려그 모습 흐렸구나 추풍령 고개 (추풍령 2절) 구름도 자고 가는 바람도 쉬어가는~ 하고 부르는 남상규 가수의 노래 은 다들 아시지요?아마도 거의 1절은 흥얼흥얼 하면서 따라 부를 줄 압니다.오늘 2절 부분 노랫말을 다시 돌아보니, 새삼 더욱 서글프고 애절한 느낌이 드네요.노랫말 속에 나오는 추풍령 고개가 바로 여기입니다.추풍령 표지석과 노래비가 서 있는 곳이지요.추풍령 마을 주민의 이야기로는 이 고개를 당마루 고개라고도 한답니다.그 옛날 당나라군이 이.. 2025. 4. 10. 우리나라에 하나뿐인 네모난 급수탑에 총탄 자국이 있다고요? [영동 추풍령역 급수탑] 구름도 쉬어가고 바람도 자고 간다는 여기는 추풍령입니다.추풍령에는 그 옛날 경부선을 운행하던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려고 만든 급수탑이 있습니다.바로 추풍령역 급수탑인데요.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리, 추풍령역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인 1939년에 만든 급수탑입니다.우리나라에 하나뿐인 네모난 급수탑지금까지 남아있는 철도 급수탑 가운데 이처럼 사각형으로 되어있는 곳은 이곳 추풍령역 급수탑뿐입니다.2003년 1월 28일에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건물입니다.급수탑 뒤쪽으로 보면 연못이 하나 있습니다.바로 여기인데요.이 연못에서 급수탑으로 물을 끌어들여서 썼다고 합니다.마을 주민의 말로는 그 옛날에는 이 연못이 꽤나 깊었다고 하지요. 물이 깊어 이 못에 빠져 죽는(자살) 이들도 여럿 있었다고 합.. 2025. 4. 8. 항일의병장 왕산 허위! 온 집안이 독립운동가, 대우를 가벼이 하지 말기를... 왕산 허위 선생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입니다. 앞서 탄신 170주년 춘계 향사를 소개하면서 선생의 삶은 자세하게 소개를 했지요.이 글 맨 아래에다가 앞서 쓴 글은 링크해 놓을게요.구미시 임은동에는 향사를 지냈던 과 함께 선생의 생가 터에 세운 도 있습니다.이 공원에는 항일 의병장으로 활동할 때의 이야기와 함께 곳곳에 그 모습들을 조형물로 만들어놓았습니다.일본군의 총칼에 쓰러져 죽은 동료를 끌어안고 비통해하는 모습입니다.얼굴로 봐서는 허위 선생이 불원복 태극기를 들고 있는 모습입니다.머지않아 국권을 회복한다는 뜻을 지닌 불원복 태극기입니다.왕산 허위선생왕산 허위 선생 후손들의 삶 왕산 선생은 조선 후기부터 명문 가문으로 이름을 알린 김해 허 씨 가문의 자손입니다.. 2025. 4. 5. 항일운동 의병장 왕산 허위 선생을 아시나요? 선생의 춘계 향사에 다녀왔어요 오늘(2024년 4월 2일)은 의병장 왕산 허위(1855년 4월 2일~1908년 9월 27일) 선생 탄신 170주년을 맞아 춘계 향사가 열렸답니다.제가 사는 구미시 임은동에 있는 옆에 있는 경인사(敬仁祠)에서 열렸지요.왕산 허위 선생은 누구?왕산(旺山) 허위(許蔿) 선생은 구미시 임은동에서 태어났습니다.1895년 10월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11월 단발령에 항거하여 1896년 을미의병 때 김산(지금의 김천) 김산향교에서 의병을 창의 했답니다.김산 의병은 충북 진천까지 진격하였으나 고종의 밀서에 따라 의병을 해산하고 청송 진보에 있는 맏형한테 가서 다시 학문에 애썼지요.1899년 중앙 관직에 진출하는데 성균관박사, 평리원 수반판사와 재판장, 의정부 참찬, 비서원 승 등의 관직에 두루 올랐지요. 그러다가 .. 2025. 4. 3. 소나무도 장군의 충절을 기린다 [임진왜란과 삼괴 장지현 장군 2. 무주 장지현 장군 묘소와 충신각] 앞서 임진왜란 영웅, 장지현(張智賢, 1536~1593) 장군의 삶을 영동군에 있는 사당과 순절비를 보며 돌아봤는데요. 선생이 돌아가시고 난 뒤 1679년(숙종 5년)에 정려가 내려져서 장군이 살던 무주군 무주읍 당산리에 홍문을 세웠답니다.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마을 '장지현 장군 충신각'그 뒤, 자손들이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마을에 보호각을 세웠습니다.'괴목리(槐木里)' 마을의 이름은 이 둘레에서 가장 큰 마을인데 마을에 괴목, 즉 느티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요.또 삼괴 장지현 장군의 후손들이 '삼괴(三槐)'인 그의 호를 따서 괴목 세 그루를 심었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전해옵니다. 장지현 장군 충신각 -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472-4 괴목리 마을 비닐집 곁으로 난 길을 따라가면 .. 2025. 4. 1. 네? 화재 신고라고요? 이른 아침, 한창 자고 있는데 전화가 울립니다.모르는 전화라서 안 받고 끊었는데 또다시 울립니다. "네 OO 지구대 경찰입니다.""아 네 왜 그러시지요?""네. 화재신고가 들어와서 그러는데요. OOOO 차주 되시지요? 블랙박스 좀 보여주실 수 있나요?" 잠결에 전화를 받고 이게 무슨 일인가? 해서 너무나 놀랐답니다.나가서 보니, 화재신고를 받고 출동을 했는데 불은 꺼져있는 상태였고요.그 바로 맞은편에 제 차가 있어서 블랙박스 영상을 참고로 하겠다는 거였어요.불이 난 곳은 집 앞 쓰레기를 버리는 곳이었답니다.불이 언제 난 건지도 모르는 상황이고요. 정말로 쓰레기에 불에 탄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었답니다.세상에나~! 하필 이런 때에 불을 냈다고요? 도대체 어떤 정신 나간 사람이?아직도 바람이 이렇게나 많이 불.. 2025. 3. 28. 임진왜란에 이런 영웅도 있었군요? [삼괴 장지현 장군 1. 추풍령 장지현 장군 사당과 순절비] 영동군 추풍령면 일대는 임진왜란 때 치열하게 싸웠던 전적지였습니다. 바로 여기가 군사 요충지였던 겁니다.임진왜란 추풍령 전투와 삼괴 장지현 장군추풍령면 사부리에는 임진왜란 때 왜적에 맞서 싸우다 순절하신 장군을 모신 사당이 있습니다.바로 장지현 장군인데요.장지현 장군은 구례가 본관이고 호는 '삼괴'입니다. 영동읍 매천리에서 태어난 분이신데요.1590년에 전라병사인 신립 장군의 신임을 얻어 부하 장수가 되었고 그 이듬해 사헌부 감찰까지 올랐지요. 그러나 잦은 당쟁 싸움에 지쳐서 곧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에 돌아와 후학을 가르치고 살아갑니다.그런데 두 해 뒤인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지요.장지현 장군은 책을 놓고 의병을 일으킵니다.첫 1차 전투에서 관군이 패하여 도망갔으나, 장지현 장군이 이끄는 의병들은.. 2025. 3. 27. 이전 1 2 3 4 ··· 4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