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VP8UL/btsKpm571QF/CR3MBEtowhItFEVKp4boB1/img.jpg)
이번에 제가 <한빛국가유산TV>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
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si=6aTkjicHx8I5VnaB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
상주 목사로 부임해온 영천자 신잠(1491 ~ 1554) 선생이 상주 땅에 세웠다는 18개 서당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몇 곳은 지금은 사라지고 없지만 남아있는 곳이 대략 10곳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시
www.youtube.com
![](https://blog.kakaocdn.net/dn/sSHL0/btsKpRkdZd8/GRXFGkl6DzqUXdaOn1krTk/img.jpg)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운 서당 일곱 번째 이야기는 상주시 외남면 옥성수자동길 40-11에 있는 수양서당(首陽書堂)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수양서당이 아니라, 옥성서원(玉成書院)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wxwV/btsKpgdLWx9/rbHcf184a1rs1bVShrzKo1/img.jpg)
그러니까 옥성서원의 원 뿌리는 신잠 선생이 세운 옛 수양서당인 거랍니다.
옥성서원은 이 축사 곁으로 난 길로 가야 하는데요. 자동차는 바깥 길에다가 세워두고 가는 걸 권합니다. 들어가도 차를 세울 곳도 마땅치 않고 차를 돌릴 곳도 없어서 후진으로 나와야 한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fNfcd/btsKpVmEVfr/oAP0fErPiHvrNoZr0e2Lc1/img.jpg)
골목을 벗어나면 이렇게 옥성서원 이정표가 나옵니다. 70m 앞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cZUD/btsKptYc7tV/yRY9Mc7s96wKceJrUddqh1/img.jpg)
아주 가깝지요? 골목 끝 야트막한 언덕 위에 지붕이 보이지요? 바로 저기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Tz1T6/btsKp3ShcLw/yN6h8pjfDkvFbDW4TW5UW1/img.jpg)
여기군요.
돌담으로 빙 둘러싸고 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9OP9Y/btsKreysfXo/fcw6t699fKXkK3p7YW7CFK/img.jpg)
돌담 위에 기와를 얹은 모습이 예스럽고 멋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kyph/btsKqPeSkzB/BLgpNzbelkJvDnUn09rmmk/img.jpg)
아하, 건물을 보니, 앞쪽이 강학공간이고 뒤쪽이 제향공간이네요.
가운데 내삼문도 보이고요.
![](https://blog.kakaocdn.net/dn/XVLqy/btsKqzwx3LA/W9BZmDW2MplfWf8KXdYi90/img.jpg)
서원의 원 뿌리였던 수양서당이 처음 세워진 곳은 여기 이 자리가 아니랍니다.
1551년(명종 6)에 서산(수양산) 아래에다가 서당을 세웠습니다. (현 외남면 구서리 옥봉 아래)
그러다가 1631년(인조 9)에 상주의 유학자인 창석 이준 선생의 주도 아래 난계 김득배(蘭溪 金得培 1312~1362), 영천자 신잠(靈川子 申潛 1491~1554) 이렇게 두 분을 배향하면서 서원으로 승격이 된 곳이랍니다.
김득배 선생은 고려말 홍건적의 난 때에 큰 공을 세운 분이고 신잠 선생은 상주 목사로 부임해 와서 서당을 18곳이나 세운 분이니 이 두 분을 모시고 배향하게 되면서 서원으로 승격이 되고 이름도 <옥성서원>이라 하였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xBgF/btsKpR5CjhX/zvrJbAXcnoV45XpuP2IhU1/img.jpg)
수양서당을 세웠던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을 배향하는 곳이 바로 여기였군요.
서당 이름을 수양서당(首陽書堂)이라고 이름 지은 게 남다르네요.
중국 은나라의 백이와 숙제 형제가 주나라를 섬길 수 없다 하여 서산(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으며(채미採薇) 살았다는 이야기에서 그들의 불사이군 정신(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을 기려 우리나라에서도 그 지명인 수양산과 고사리를 캐 먹었다는 채미로 이름 붙인 곳이 여럿 있답니다.
예를 들면, 함안에 있는 생육신의 충절을 기리는 <서산서원>과 <채미정>이 있고요. 또 제가 사는 구미에도 야은 길재 선생의 충절을 기리는 금오산의 <채미정>이 있지요.
아마도 처음 서당을 세울 때 수양서당으로 이름 지은 까닭이 이런 뜻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되네요.
함안 서산서원과 채미정 이야기는 제가 지난 2020년에 네이버 블로그에 쓴 글이 있답니다.
https://blog.naver.com/ssimon777/222171345766
[함안 서산서원] 불의에 맞서 사육신의 충절을 따라 생육신으로 절개를 지킨 이들
사육신은 잘 아시지요?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이렇게 여섯 분이지요. 세조가 어린...
blog.naver.com
또 야은 길재 선생의 충절을 기리는 금오산 채미정 이야기는 바로 얼마 앞서 야은 길재 선생의 유적지를 소개하면서 시리즈로 티스토리에서 소개를 했지요.
https://sunnyhanbit.tistory.com/348
[야은 길재 선생의 유적을 찾아서4] 금오산 채미정과 숙종 어필오언구가 있는 경모각
고려삼은 가운데 한 분이신 야은 길재 선생을 톺아보려 합니다. 길재 선생은 제가 사는 구미시가 고향인 분이랍니다. 선생은 고려 후기 문신이자 조선 초 성리학자입니다. 고려가
sunnyhanbit.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b2EwF6/btsKo6JemPU/psbrhMuQnXNjTwGhXWtlO1/img.jpg)
그 뒤로 동계 김범(桐溪 金範 1512~1566), 월간 이전(月澗 李㙉 1558~1648) 선생을 추가로 배향하면서 네 분을 모시게 되었고요.
그러다가 1648년에 큰 물난리가 나 서산이 무너지는 바람에 서원이 그만 묻히고 말았다고 합니다.
그때 급하게 위패를 청리에 있는 수선서당에 보관을 해놓았다고 하네요.
수선서당 아시지요? 제가 18개 서당 글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소개했던 바로 그 수선서당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JVqDX/btsKrd0Enbk/3ijwD1yFBjVayLqwTsbSo1/img.jpg)
그렇게 임시로 위패를 수선서당에 모시고 있다가 1710년(숙종 36)에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외남면 신상리 진등마루로 서원을 옮겼는데 이때 창석 이준(蒼石 李埈 1560~1635) 선생까지 추가로 배향하며 지금까지 다섯 분의 위패를 모시고 향사를 지내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수난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지요? 잘 아는 대로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 여기도 훼철되고 맙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6gbN/btsKoSj34I3/2zGcPk7sG99OQGIIHvNKJ0/img.jpg)
그 뒤로 이 자리에다가 단소만 세워서 향사를 지내왔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가 보는 이 서원의 건물은 1977년에 복원을 했다고 하네요.
옥성서원 문은 열려있습니다. 아이고 고맙습니다. ^^
![](https://blog.kakaocdn.net/dn/bI6l2A/btsKp1NF76l/maJ7sOvZxgoqEpvgmkimSk/img.jpg)
앞면에 4칸 옆면은 2칸짜리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입니다.
가운데 두 칸은 대청이고 양쪽은 한 칸씩 온돌방이 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ci60TO/btsKp1fOADS/9mGcXSwfm3pBCFEoDrdc30/img.jpg)
옥성서원(玉成書院) 편액이 있고 대청 안쪽에는 큰 명륜당 현판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저런 현판들이 많이 걸려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MJ4jP/btsKq8ZkvbL/2dLNt0BJPijvJxjhJzNg7K/img.jpg)
온돌방 앞쪽에는 양쪽 다 쪽마루를 두었습니다.
쪽마루 아시지요?
바깥기둥이 없이 마루만 둔 걸 말하는 거예요.
바깥기둥과 안기둥 사이에 있으면 툇마루~~
언젠가 한 번 글을 쓴 적이 있지요.
![](https://blog.kakaocdn.net/dn/cOvmTH/btsKq0HgqwN/t0PWQltsW5VufdsdvKTbU1/img.jpg)
저 끝에 오른쪽에도 쪽마루가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fuBHU/btsKpfFRYSn/HhRYoLl8DS6R979pIoCC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gWJP/btsKqyqTmtx/51usORMM94DipX2DbUA8g1/img.jpg)
3월 15일에 향사를 지냈나 봅니다. 해마다 음력 3월15일에 지내는 향사랍니다.
그때 참여한 제관들의 이름을 적어놓은 것 같네요.
![](https://blog.kakaocdn.net/dn/xqS7f/btsKpBWhDHV/034Q581f8LY1k8MijfsWNk/img.jpg)
옥성서원 중건기
![](https://blog.kakaocdn.net/dn/cmvNbC/btsKp8eZ644/ZwghNqciyYEm3Fw1cMta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Dbwu/btsKqzi1E3p/MUKknmBJ6091zIZAwDQk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mK6S/btsKpWy7L8O/ng9rPZ8meK3td2XkrDFDjk/img.jpg)
서원 복원할 때 성금을 낸 분들의 이름을 적은 기록 같아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B7xhe/btsKqq0MN8T/K2gFyFlHqgq7Paz9C2mcC1/img.jpg)
강당에서 바라보는 마당과 일각문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jvxTy/btsKrcOdcyw/BwT3CutHK287C5Ucra0MN1/img.jpg)
뒤쪽으로 돌아가니 제향공간인 사당이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F0BWA/btsKo8txCGg/6GMcSbJ2cdIoKCkeQ9pEjk/img.jpg)
뒤쪽에서 보는 명륜당 대청이에요.
한눈에 시원하게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Va9NJ/btsKreeaqPt/cA8bGLoskx8NKK7S5rKT3K/img.jpg)
뒤쪽 모습인데요.
오른쪽에는 뜬벽장이 있네요. 바깥으로 많이 튀어나오지는 않았는데 안쪽 모습은 볼 수 없어 어떤지 모르겠지만 꽤 쓸모 있게 만들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cQ2O4l/btsKqNagmdT/R0gTmK6GbnLjAwy76DQwP1/img.jpg)
대청 뒤쪽에는 이렇게 문이 두 개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eTMHE/btsKqvVer0y/8utyJNDpoo7oCAXtXt0QR1/img.jpg)
옥성서원 내삼문입니다.
굉장히 소박한 삼문이네요.
삼문으로 들어갈 때는 오른쪽으로 들어가고 왼쪽 문으로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가운데에는 신문이라고 해서 신들이 드나드는 곳이랍니다.
하지만 문이 열려있는 곳은 왼쪽이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wS91N/btsKo03fOwf/FE0oHXGq8LnjfdYis3uNM1/img.jpg)
담장 너머로 보는 사당은 매우 단출합니다.
문이 3개가 있는 앞면 3칸 옆면 1칸짜리 건물이네요.
![](https://blog.kakaocdn.net/dn/RY9H6/btsKpuCQnj2/KsAFgbhdKIwtoNDridzQfK/img.jpg)
사당에는 경현사(景贒祠) 편액을 걸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rCHz/btsKpvPhJXv/1RbZLndFEqqzKtX7vrEd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CYr4/btsKp3rbf4P/yGX8ToA01oNGmOuy7dGB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JfAy/btsKqpnfBWm/adu5dO5czownTqfWAYMeG0/img.jpg)
경현사는 문이 닫혀있어 안을 볼 수는 없었는데요.
문에 작은 구멍이 생겼더라고요. 그래서 스마트폰으로 찍어봤어요.
어라? 안 보이네?
![](https://blog.kakaocdn.net/dn/3BMGk/btsKp4p6Qzw/6AUtLky88iLgHKnWAAnwxk/img.jpg)
사진을 밝게 해 보니, 위패를 모신 게 희미하게 보입니다.
이곳에 제가 요즘 시리즈로 잇달아 소개하는 서당을 세운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의 위패도 있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ypnCC/btsKpwgnCGK/4139ILpCrLEdQqc4Bz2nU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DtuZ/btsKpS4ACqe/rX3w8c9Gv54yqO35YQCyK0/img.jpg)
솟을삼문인 내삼문
![](https://blog.kakaocdn.net/dn/1Q1Ce/btsKpUuv9DX/s1vYWWLXhUPueaqe3Qk7E1/img.jpg)
이 옥성서원에 모신 다섯 분 가운데에 동계 김범은 16세기 중반 상주 지역 유학의 학맥을 이은 학자이고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은 형제인데,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 검간(黔澗) 조정(趙靖)[1555~1636] 등과 함께 17세기 초 상주 지역을 대표하는 유학자로 활동하던 분들이랍니다.
또 이 옥성서원은 상주시 남부 지역인 외남면, 청리면, 공성면 둘레에서 가장 중요한 서원인 데다가 지역 선비들의 중심이 되면서 조선 후기 상주 지역의 현안들을 논의하는 곳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이곳에서 많은 통문(通文)이 작성되었고 상주 땅에서는 도남서원(道南書院)과 함께 남인계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서원의 전통을 이어왔다고 합니다.
오늘은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18개 서당 가운데 서원으로 승격이 된 두 곳이 있는데 그 가운데에 옥성서원으로 바뀐 수양서당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이다음에는 서원으로 승격된 또 다른 서당, 지천서당 이야기로 돌아올게요.
★ 제가 꾸리는 한빛국가유산TV에서 소개한 영상도 함께 보세요.
https://youtu.be/u5kP2wi-wdc?si=MyiyPbDM0fMj-N0O
상주시 외남면 옥성수자동길 40-11
https://sunnyhanbit.tistory.com/368
아니! 18개나 세웠다고? 내가 다 알려줄게~! [상주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18개 서당]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
sunnyhanbit.tistory.com
https://sunnyhanbit.tistory.com/369
상주 수선서당-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서당 1] 신잠 목사가 손수 편액 4글자를 써서 걸었다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
sunnyhanbit.tistory.com
https://sunnyhanbit.tistory.com/370
상주 백화서당-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서당 2] 8개 문중이 함께 꾸린다고요?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
sunnyhanbit.tistory.com
https://sunnyhanbit.tistory.com/372
상주 봉암서당-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서당 3] 조선시대 서당의 수업료가 얼마인지 아시나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
sunnyhanbit.tistory.com
https://sunnyhanbit.tistory.com/377
상주 죽림서당- [상주 목사 신잠 선생이 세운 서당 4] 옛 건물에 니스칠을 하면 안돼~!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
sunnyhanbit.tistory.com
https://sunnyhanbit.tistory.com/378
상주 송암서당-[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5] 그나마 후손의 이야기를 들었으니 이렇게라도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
sunnyhanbit.tistory.com
https://sunnyhanbit.tistory.com/379
보자마자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상주 하곡서당-[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6]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
sunnyhanbit.tistory.com
'한빛이 들려주는 국가유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길이 없어 저기를 못 올라가다니!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8] 연악서원(지천서당) (29) | 2024.11.04 |
---|---|
길이 바뀌니 옛집이 확 드러났다! [외마포 마을 영동 묵정리 고가] (16) | 2024.11.03 |
보자마자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상주 하곡서당-[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6] (32) | 2024.10.27 |
상주 송암서당-[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5] 그나마 후손의 이야기를 들었으니 이렇게라도 알지 (15) | 2024.10.25 |
이쯤이면 이 마을 안녕과 평화는 언제나 쭈욱~ [상주 대현리 동제 - 장승과 동제단 그리고 선돌] (32)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