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Cpp70/btq415wHmve/KdZ8Wedg7sJFTbLFQd4341/img.jpg)
지난해(2020년) 끄트머리에 국가지정 보물로 승격이 지정된 곳 중에 그동안 여행 다니면서 본 곳 중에 참 아름답다고 생각했던 곳이었답니다.
바로 옥천 이지당(보물 2107호)인데요.
예전에 앞서 2016년에 가서 봤던 곳이랍니다.
일자로 된 긴 누각이 참 멋스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GT7d/btq4ZReZpZv/JDEL1kFSyhU0rhehfGFUSK/img.jpg)
어때요?
참 멋지지 않나요?
굉장히 아름다운 누각이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g8Om/btq4Zhdimio/T3r9wzSPD0X6sm6hr9LzxK/img.jpg)
옆에서 보는 풍경입니다.
이지당 앞으로 흐르는 내는 서화천이랍니다.
보통 아름다운 정자들은 물가에 있는 곳이 많답니다.
여기도 다르지 않네요.
너른 내 앞에 지었으니까요.
![](https://blog.kakaocdn.net/dn/bx3PyU/btq5aAvjM4Q/IN6Xx5DhG6edrYPrDidZt0/img.jpg)
이지당으로 가려면 서화천 위에 있는 다리를 건너가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o39X/btq49aw7Fj4/arb9A1BzI7FQDomjUuLMq1/img.jpg)
다리 앞에서 보는 마을 풍경이랍니다.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 마을입니다.
마을 지붕들이 아주 예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TYePJ/btq47yL16ab/WZ30iSDigKecSAekPeirfK/img.jpg)
다리를 건너와서 오른쪽으로 가면 이지당이 나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ZV0XM/btq47yFd100/vwUsSU7eAQWHNjU2JWZ340/img.jpg)
왼쪽으로는 옥천 부소담악 자전거길이 있네요.
이쪽으로 가면 병풍으로 둘러싼 듯한 절벽이 있는 <부소담악>이 있지요.
예전에 여기도 가봤는데,
굉장히 멋스러운 곳이었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orZj/btq41k9jP2L/KxCyWq32mYraPNkBfTaskk/img.jpg)
옥천 부소담악 자전거길 안내판
![](https://blog.kakaocdn.net/dn/lOl7v/btq45OVMCuH/6IYfFO2Ls5nkVQlbwhjhXk/img.jpg)
이지당 이정표 옆에 노랗고 직사각형으로 생긴 건물이 하나 있는데,
농수를 관리하는 곳인 가 봅니다.
그런데 담벼락에 쓰인 글을 보니, 조금 놀랍네요.
![](https://blog.kakaocdn.net/dn/t8ejb/btq49RK8Bt9/fKSJX9mpZN2RGSKdKl3RSK/img.jpg)
개 삽니다!!!
옛날에는 흔히 마을 개들도 사고팔기도 했어요.
음...........좋은 거래는 아니었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bhpy60/btq44OPv00h/z348b5uekZg4g75co0WwrK/img.jpg)
다리 건너에서 봤던 집들을 가까이에서 보니,
더 예쁩니다.
옛날 생각 많이 나지 않나요?
어릴 때, 우리 마을 집들 같았어요.
![](https://blog.kakaocdn.net/dn/3x35v/btq44OV70Jj/MknufxrTRKheKbOsS7yzWK/img.jpg)
노란 유채꽃 너머로 우리가 건너왔던 다리가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0kw3d/btq44POhjGF/lyn6LgqrPRdiV8uANX1g90/img.jpg)
서화천이 흐르는 물길을 따라 이지당으로 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PuEHk/btq49RK8TKF/TKAs35Qth5hxjgk6lHqGAK/img.jpg)
연초록 이파리들을 한창 내고 있는 나무들이 내와 어우러져 참 멋스럽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jNFdE/btq42zkS5Iy/C7kzxrjlVsC4r4f78FqDYK/img.jpg)
요런 느낌도 괜찮네요.
![](https://blog.kakaocdn.net/dn/cxZFPE/btq42AD3sDY/yCifK67nibluPJQA3iKS80/img.jpg)
서화천 다리를 멀리서 보니,
멋들어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MCDnX/btq5adN8IEN/FUe6WSBIS96RNwDiBMFQYK/img.jpg)
이지당으로 가는 길엔,
아렇게 데크를 놓았는데 왼쪽엔 커다란 바위가 대단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V8HAT/btq415KqIqj/xwEA1oKnKBB1L9VEGwh3i0/img.jpg)
이런 바위에는 어김없이 글자를 새겼네요.
이름 같지요?
![](https://blog.kakaocdn.net/dn/bbHINr/btq453MhbYF/t59TurzbNWKnJkspw2BQp1/img.jpg)
나무와 바위가 한데 어우러져 있어요.
참 오랜 세월 동안 이 자리에 있었겠지요?
![](https://blog.kakaocdn.net/dn/bpt1gG/btq49SJ3ONF/bZwOmgq7zk71VIcwNg7Odk/img.jpg)
시원한 내를 굽어보며 우뚝 서있는 이지당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dHSP/btq47yywxuv/6aq3dfHpK7uyQ6zMXoKeAk/img.jpg)
가장 앞에 보이는 것은 2층으로 된 누각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fFvy/btq44dnS2Hb/JmRTKhsJlT9K0M2Gj6zOvk/img.jpg)
물가로 내려가서 위를 올려다보니, 더욱 멋집니다.
양쪽에 이층 누각들을 두었는데,
오른쪽이 조금 더 낮게 만들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dpsNFl/btq49Rdi7HD/H1mFMRk5Tu9KkHxlSPxjSk/img.jpg)
서화천 물길이 참 너르네요.
이날 따라 하늘이 매우 맑고 구름들이 무척 예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SNMDu/btq45PG5EfQ/sd01bAKhiVQRCpvgYoLPZ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bGca/btq47w8wdeR/MVkBWnV4GkkNM1h8XVbcx1/img.jpg)
이층 루를 떠받치고 있는 기둥 좀 보세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라 멋지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0JV3j/btq40QfHs0v/zBW60CoSf7rOKWkGm2mdl0/img.jpg)
마루는 2층에 있고요.
그 아래는 부엌이네요.
아궁이가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0FzOW/btq432UE86e/8L159lWelXtitAxzjNkUm0/img.jpg)
이렇게 일자형으로 된 집이에요.
![](https://blog.kakaocdn.net/dn/bjf01h/btq44bji1wv/G0IIvUZdX7HyOKlWVvwJ80/img.jpg)
2층을 올려다보는 것도 멋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rOr2/btq433F02qC/uDvOtksKbuMPE8HVr70y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k6i4/btq5aelYU4i/G7YAUGUb1aUVN8tTxWwMd0/img.jpg)
이지당!
![](https://blog.kakaocdn.net/dn/cXEQLt/btq5adHmX1V/glhdzkWxKaS3dBjYlHDgO0/img.jpg)
이 글씨는 우암 송시열 선생이 쓴 친필이라고 합니다.
인재들을 길러낸 곳이었다고 합니다.
<이지당>은 우암 선생이 <시전>에 있는 고산앙지 경행행지(高山仰止, 景行行止) 이 글에서 止 자를 따와서
<이지당 二止堂>이라고 했답니다.
고산앙지 경행행지(高山仰止, 景行行止)
"산이 높으면 우러러보지 않을 수 없고 큰 행실은 그칠 수 없다”
"높은 산을 보듯이 현인들의 행실을 본받아야 한다!"
중봉 조헌 선생과 임진왜란, 그리고 금산 칠백의총
![](https://blog.kakaocdn.net/dn/cRXrLC/btq5aqNjgaE/SR721qsaiy24sRGTNxCwL0/img.jpg)
그런데 그보다 일찍 이곳을 '각신서당'이라고 했는데,
이 글씨는 중봉 조헌 선생이 쓴 친필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oBmx/btq5acPBZ7L/su4jy1MvIlKESOiHt8iot0/img.jpg)
서당 건너편 마을 이름이 '각신'마을이었답니다.
그 이름을 붙여서 <각신 서당>이라고 했답니다.
중봉 조헌 선생!
낯익은 이름이 아닌가요?
![](https://blog.kakaocdn.net/dn/CnUez/btq5aLwVflJ/LQ6wzdb2EIFlkTUh3OXwS1/img.jpg)
네.. 맞습니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바로 그 조헌 선생이랍니다.
선생 또한 성리학자였지요.
율곡 이이의 제자였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dbob2/btq47UBmiUy/mFGzzAJcNmqQVCFUVYV720/img.jpg)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 있던 조헌 선생은 의병을 일으킵니다.
의병장으로 많은 의병들과 함께 청주를 수복하고 금산 싸움에서 치열하게 싸웁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L8yn/btq45PnaQuT/sif0WGPU0ivgVY7trqB5wk/img.jpg)
그렇게 전쟁에서 700 의병들과 함께 싸우다가 순국한 분이랍니다.
정말 장한 분이지요?
![](https://blog.kakaocdn.net/dn/kyPSp/btq45PHqj1H/PEPCAIhXVevaKQ5LiayCL1/img.jpg)
이분들을 기리는 무덤이 바로 금산에 있는 '칠백의 총'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bV3n/btq5aqT4IW9/eYILykMk8eDtCD1sQPgdxK/img.jpg)
오른쪽에 있는 누각은 저 앞에서 보았던 것보다 조금 낮게 만들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T7ljG/btq47SXReQm/ZHEkoXQWBoegrB0zYhZyK0/img.jpg)
이쪽에서 봐도 굉장히 멋지네요.
![](https://blog.kakaocdn.net/dn/vMQhQ/btq40RllCMn/pIs7cCVUx9Nmnzz6X5r0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3urru/btq40ReAuAI/cPZQDDI4VwTBKNU89l4nS0/img.jpg)
이 둘레엔 크고작은 바위들이 꽤 많이 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tkvCe/btq5azwFjVe/uJ5t23acie2QkrwH1AFh0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28SF/btq5besgRuj/SqOCAKFARD5hLPwPPXummk/img.jpg)
나뭇가지와 어우러진 냇가가 시원해 보이네요.
![](https://blog.kakaocdn.net/dn/1gBK2/btq47xGls6m/litY2URP9NYN0hCHKKWoT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4imbv/btq414x0OEJ/qe1JY9zW82cCsuhkU6fCd1/img.jpg)
오늘날 우리가 보는 '이지당'은 광무 5년인 1901년에 옥천의 금씨·이 씨·조 씨·안 씨 네 문중에서 새롭게 다시 지은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4AKaP/btq45N3AToT/PkmGYiH6uCQM781bAqki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KGnZ/btq4527EQld/7Fb7jgi0GthTNrb4sK8l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9EH0/btq432UFe3u/Sorc6RHNzvQVm1c7c8ndU1/img.jpg)
양쪽에 마치 날개를 단 듯하네요.
그러면 이것도 밀양 영남루처럼 날개 집인 '익사'로 볼 수 있을까요?
![](https://blog.kakaocdn.net/dn/UlWGQ/btq433zjgwI/dSodV7MbNXiw5VlNHrpS4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YZ9g/btq41msxOyS/PK3zA3eKbUWLvdrKOQwxC1/img.jpg)
어쨌든 참 멋스러운 곳에 자리 잡은 누각입니다.
보물로 지정될 만하지요?
서당 건물이 보물로 된 예도 이번이 처음이랍니다.
안동 도산서원의 도산서당, 그리고 농운정사와 함께 보물이 되었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6ZGYP/btq44bp5NUD/A0BKMEcc7JPDOYkC5uTpT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99fZ/btq47TPY8Tp/WUQ9aragIlSUigVc9bzbnK/img.jpg)
이번에는 이지당 옆으로 난 오솔길로 가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l7XP/btq41lNUWy1/qEzRvJqbdYDEqEmUQ50Zy1/img.jpg)
여기도 바위가 많네요.
바위가 마치 무슨 화석처럼 그렇게 보이더군요.
![](https://blog.kakaocdn.net/dn/Fzur0/btq47yL21EA/5AmxnPcmuVg34lRJLBfWV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8OcPj/btq41l1tGQ7/x52VGHGjUoTO0Qu1SNsRok/img.jpg)
옆에는 낭떠러지이고 좁은 오솔길이네요.
마치 토끼비리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JfRPo/btq5aNhcltk/8yJ62kvIg6mUUs44I6NU6k/img.jpg)
오솔길을 따라가니,
너른 곳에 어느 분인지는 모르겠으나 무덤이 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PEpUM/btq40P8UUWw/5SbNPBuZZ3hD081bQa3V70/img.jpg)
이지당을 이야기할 때, 많은 이들이 우암 송시열(1607 ~ 1689)을 많이 얘기하더군요.
그런데 그보다도 더 앞서 의병장 중봉 조헌(1544 ~ 1592) 선생이 서당을 세우고 제자들을 가르친 곳이었다는 겁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fJJ9i/btq454Eqxvb/J6QwhuElstzsXdKmKH34Jk/img.jpg)
멋진 이지당을 뒤로하고 이제 되돌아 나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2EDJ/btq49RdjjGV/WEKrmVz2LnklQUg6AXTL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5koI/btq40RFE73n/CZQkVu7IBu9edMoBWH5SdK/img.jpg)
붉은 글씨로 새긴 '금지수'란 글자와
![](https://blog.kakaocdn.net/dn/bPwTiQ/btq5aLXZkXA/wi6rpxDeS0GiK4o1NN9zH0/img.jpg)
'이지당'이라고 쓴 글자도 새겼네요.
![](https://blog.kakaocdn.net/dn/kEipS/btq5aMJmdv5/QIYni2xocI5MKlzicA97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BQCH/btq47SXRoU3/N2NuWcHzulTcK06JjPka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pymfN/btq454LdFzH/TSK57ozUVHVJjv2Zwovp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DZ5r5/btq4328b1J1/RZxAxRP4gZYdOAkILKKV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oWiQ/btq49R5q5pQ/JfSgdAoPOmPcjN7Fv8OX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W3d1e/btq44PU4V4W/2yvZqALZsLy4LATG6zYek1/img.jpg)
처음 중봉 조헌 선생이 세운 각신 서당!
그 뒤로 훗날 우암 송시열 선생이 이지당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던 이지당!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보물! 이지당!
꽤 멋진 구경을 하고 돌아서는 발걸음도 기분이 좋네요.
보물 지정된다고 할 때부터 다시 와보고 싶은 곳이었는데,
이렇게 다시 와서 봐도 참 좋은 곳입니다~!!!
https://youtu.be/1f139pPnRDs
'한빛이 들려주는 국가유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천 김산향교와 나화랑 생가] 난 왜 시골풍경이 이리 좋을꼬? (22) | 2021.06.12 |
---|---|
<상주 청리면 존애원> 청리에 조선시대 최초의 사설 의료기관이? (14) | 2021.06.07 |
김천 개령면 <양천리 벽화거리>와 <양천리 고분군> (21) | 2021.05.04 |
<예천 병암정> 새순 돋는 빛깔이 아름답다, 어쩜 이리도 풍광이 좋을까? (49) | 2021.04.18 |
[구미 매학정]학을 길렀다고요? 낙동강 가, 매화가 있고 학이 나는 정자 (39) | 202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