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빛이 들려주는 국가유산 이야기128 나주 월정서원 - 한빛 글 보러 가기 며칠 앞서 3년 만에 다시 찾아간 나주 월정서원 이야기를 올렸지요.다음 메인까지 걸렸던데...문제는 제 글이 다음에서 검색이 안 되더군요.애써 쓴 글이 검색이 안 되어서 매우 답답하네요. 다음뿐 아니라, 구글에서도 네이버에서도 검색이 안 되더라고요.무슨 문제인지 몰라 가장 먼저 구글서치와 네이버서치에 색인요청을 하여 며칠 지나니 검색이 되더군요.그런데 정작 다음에서는 전혀 검색이 안 되어서 고객센터에 물었는데도 해결이 안 되네요.며칠 지나 답장이 왔는데 이런 글이 왔네요.이궁....... 예전에도 구미 순희할매집 글 쓰고 다음 메인 오르고 난 뒤에 노출이 안 되었던 적이 있었답니다.아무튼 다음 메인까지 올려놓고도 내 글이 저품질이라니..... 어쨌든 한 번씩 이럴 때마다 맥이 확 풀리네요.그래서 이 글.. 2024. 12. 31. 나주 월정서원 3년 만에 도대체 무슨 일이? 3년 전 촬영한 사진과 견줘보자! 세상에나! 사액서원이라는데 어찌 이런 대접을? 하고 보자마자 하도 기가 막혀 놀랐던 기억이 딱 3년 전입니다. 여기는 나주 월정서원이랍니다. 바로 위 사진은 지난 11월 24일에 가서 촬영한 사진이랍니다.나주곰탕 먹으려고 나주에 갔다가 맛나게 먹고 나서 장성 쪽으로 가려다가 이정표가 보여서 덮어놓고 갔답니다. 3년 앞서 다녀온 곳이었지만 혹시 지금도 그 모양 그대로 있을지 궁금해서 다시 가보고 싶었답니다. 겉으로 봐서는 그리 달라진 게 없는 듯했어요.나주 월정서원은 16~17세기 나주 지역 선비들의 활동상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라고 합니다. 1659년(효종 10) 나주 출신으로 영의정을 지낸 사암 思菴 박순 朴淳(1523~1589)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려고 세운 서원입니다.1669년(현종 10)에.. 2024. 12. 23. 상주 서당 마지막 이야기 - 아아! 3곳은 터만 남았다!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12 상주 용문서당, 매악서당, 석문서당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https://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si=OX0nA3T8LFW44WFn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목사.. 2024. 12. 13. 더부살이 끝에 자리를 잡았으나!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11] 문경 영빈서당 - 근암서원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https://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si=gTqzG52DVKm5440R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목사.. 2024. 12. 7. 의성 단밀면은 '충효의 성지'라고 해도 되겠구나!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10] 의성 봉성서당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 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https://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si=Aph2OvZA2VncT-Qg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 2024. 12. 3. 덤벙주초와 그랭이공법을 아세요?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9] 상주 도곡서당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 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목사로 부임해온 영천자 신잠.. 2024. 12. 2. 이제 진짜 쓰러지겠다! 한강 정구 선생의 발자취가 남겨진 <김천 석곡서당> 한강 정구 선생의 발자취가 남겨진 석곡서당은 다 쓰러져가고 김천 조룡리 마을에 있는 섬계서원에는 조룡리 은행나무가 있답니다.두 주 앞서 갔을 때는 은행잎이 아직 물들지 않아서 나왔는데 어제(11월 17일) 다시 가니 벌써 은행잎을 거의 다 떨구고 없더군요. 딱 두 주만에 노랗게 물든 은행잎은 제대로 보지도 못하고 다 지고 말았네요. 그래서 그냥 돌아서 내려왔는데, 마을 어귀에 예전에 가서 살펴봤던 석곡서당에 다시 들러봤답니다.석곡서당은 한강 정구 선생께서 여기에 머물면서 마을 유생들한테 학문을 강론했던 곳이라고 합니다.寒岡先生杖屨之臺(한강선생장구지대)라고 쓴 빗돌이 서당 앞에 있는데 선생이 계시던 곳이라는 표를 한 빗돌이지요.이 빗돌 뒤로 보이는 곳이 바로 석곡서당입니다.석곡서당을 처음 알게된 때가 지.. 2024. 11. 18. 아~! 길이 없어 저기를 못 올라가다니!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18개 서당 8] 연악서원(지천서당) 이번에 제가 기획 영상으로 상주 목사 신잠 선생께서 세웠다는 18개 서당을 하나하나 찾아가 보기로 하였답니다.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하나하나 공부를 해가며 찾아가서 답사를 하고 촬영을 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담아 소개를 했습니다. 영상과 함께 티스토리에 우리가 찾아낸 서당 한 곳 한 곳을 글로 담아 소개합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당 11곳과 터만 남은 서당 3곳, 그리고 정확하게 어디인지 어떤 자료도 없고 정보도 없어 알 수 없는 곳이 4곳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은 아래 링크로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IoCr0lCvpmQZWg42KjmsrGjSC4MTRdRu&si=rSWR03_xF-OlDFoz 상주 목사 신잠이 세운 서당 18곳상주.. 2024. 11. 4. 길이 바뀌니 옛집이 확 드러났다! [외마포 마을 영동 묵정리 고가] 어라? 여기 언제 이렇게 바뀌었대? 구미에서 금산에 갈 때면 늘 지나가는 곳이랍니다. 황간까지는 고속도로를 타고 나와서 영동 양강면 묵정리 마을 앞을 지나서 금산으로 가곤 했지요. 여기는 외마포 삼거리랍니다. 그런데 한동안 아니, 꽤 여러 해 동안 여기 외마포 마을 앞으로는 지나갈 수가 없었답니다. 여기 외마포 삼거리와 금산, 양산 쪽으로 가는 오른쪽 길을 아주 오랫동안 찻길 공사를 하고 있었거든요.이번에도 그렇겠거니 하고 저기 반대쪽 길로 왔는데 이쪽 길이 열렸더군요. 길도 새로 다 닦아놓았고요. 이 마을의 산세가 말모양으로 생겼고 둘레에 금강이 흐르고 나루터가 있었다고 합니다. 마을은 내마포와 외마포가 있다고 해요. 지금은 묵정동과 마포동이 합쳐져 '묵정리'라고 합니다.외마포이 마을 앞에 그 옛날 .. 2024. 11. 3. 이전 1 2 3 4 5 ··· 15 다음 728x90 반응형